PM 여정/Uglyus

[PMB 18기] W1 내가 사랑하는 그 서비스, 어글리어스 A-Z 파헤치기

눌it 2023. 4. 3. 16:10
<과제 목적>
프로덕트를 고객&기업, 시장 관점으로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것
고객과 기업의 관점으로 문제와 프로덕트에 대해 전략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

1. 프로덕트 분석

1) When : 언제, 얼마나 사용하는가? (사용 빈도 및 시점)

  • (채소박스) 못난이 농산물 정기배송 구독을 신청할 때
  • (채소박스) 자신이 설정한 배송 주기 기준 간격으로 1회, 매주 월요일 카카오톡 알림을 받은 이후 나만의 채소박스 확정을 할 때
  • (채소박스) 배송일정을 미루거나 당기고 싶을 때
  • (채소박스) 내가 받은 농산물을 활용한 레시피를 확인하고 싶을 때
  • (싱싱마켓) 판매상품의 사연에 대해 공감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 최소 사용 빈도? 채소박스 확정을 위해 구독 주기당 1회는 필수로 사용해야 한다.
→ 빈도 수를 높이려면? 1. 구독 주기를 줄인다 / 2. 콘텐츠의 수를 늘린다(레시피, 식단일기 등)
 

2) Where :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 (물리적 위치, 맥락)
  • 못난이,유기농, 친환경 농산물을 구매하려는 상황에서
  • 내가 받은 농산물로 요리를 하려는 상황에서
  • 나의 선호/비선호 농산물을 제외 하려는 상황에서
  • 판매 상품 관련 컨텐츠에 공감하고, 그것을 구매하려는 상황에
  •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려는 농산물이 없는 상황에서 온라인 구매를 하기 위해서
  •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려는 농산물이 너무 많은 단위 기준으로 판매하고 있는 상황에서
3) Why : 왜 만들어졌는가? (존재 이유)

  • 지구 온난화를 가속 시키는 농산물 폐기문제 해결을 위해
    :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그리고 대형 유통 체인 내의 관리 편의를 위해 균일하고 깨끗한 농산물들이 ‘정상품’으로 분류돼 시장으로 나오고, 나머지는 규격 외 농산물로 분류됩니다. 이 규격 외 농산물들은 맛도 영양도 다를 바 없지만, 크기가 조금 작거나 크거나 개성있다는 이유로 적절한 판로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판로를 찾지 못한 농산물의 상당 양은 폐기로 이어집니다. 농산물의 폐기는 온실가스를 배출해 환경을 오염시키고, 생산에 투입된 물과 비료, 노동력의 낭비로 직결돼 큰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손실입니다.
  • 농산물의 가치 기준 변화를 위해
    : 건강하게 자란 농산물들이 외형으로 폐기되는 일이 없도록 발로 뛰고 알리며 제 가치를 찾습니다. 조금 작거나 크거나 거칠어도 같은 땅에서 자란 농산물의 본질에 집중합니다. 못난이 농산물을 헐값에 사들이는 관행을 깨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정산하여 건강한 생산과 남김없는 소비가 지속되도록 힘 씁니다.
로드맵 예측
니치한 마켓 -> 더 큰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식으로 로드맵을 발전시켜 나갈까?

4) How :
 - 고객 / 어떤 목적과 이유로 인해서 비용을 지불해가며 사용하는지? (목적과 이유)
 - 고객 / 해당 프로덕트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프로덕트 활용 방법)
 - 기업 / 어떤 목적과 이유로 인해서 비용을 지불해가며 개발하고 유지하는지?
 - 기업 / 해당 프로덕트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 고객 - 목적과 이유
    • 못난이 농산물이 헐값에 판매되거나, 폐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참여하고 싶어서
    • 평소 내가 사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주기적으로 받아보고 싶어서
    • 유기농, 친환경 농산물 소포장을 구매하고 싶어서
    • 배달음식, 외식으로 인해 증대된 식비를 집밥요리를 통해 줄여보고 싶어서
  • 고객 - 프로덕트 활용 방법
    • 정기 구독 서비스로 편리하게 농산물 받아보기
    • 비선호채소 등록을 통해 싫어하는 제품은 자동 제외하기
    • 레시피를 보고 다양한 집밥요리 활용하기
    • 레시피 업로드를 통해 리워드 받기
    • 구독자 식단일기 작성하고 리워드 받기
    • 추천인 코드를 활용하고 홍보하여, 구독비용 할인받기
  • 기업 - 목적과 이유
    • 못난이 농산물이 헐값에 판매되거나, 폐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 못난이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 못난이 농산물의 판로를 확대하기 위해서
    • 무농약, 유기농, 제철 채소의 판매채널로 성장하기 위해서
  • 기업 - 프로적트 활용 방법
    • 못난이 농산물, 무농약/유기농/제철 채소의 판매 채널로의 활용
    • 고객들이 위의 채소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레시피/식단 공유 커뮤니티로의 활용
    • 못난이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는 커뮤니티로의 활용
    • 충성고객을 통해 못난이 농산물의 가치 및 판로를 홍보하도록 활용
5) What : 그래서 기업은 무엇을 만들고 있는가? (프로덕트 자체)

어글리어스
시장에서 선택받지 못한 무농약/유기농 '못난이 농산물'을 구독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프로덕트

  • 채소박스 : 원하는 배송 주기 및 박스 크기를 결정하여 못난이 농산물 채소박스를 받아보는 구독제 서비스 (주요)
  • 싱싱마켓 : 모양과 크기, 판로문제로 갈곳 잃은 못난이 농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 (주요)
  • 레시피 : 다양한 농산물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요리 레시피 제공(비건 레시피 포함)
  • 식단일기 : 내가 구매한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한 식단 공유 커뮤니티
6) 해당 프로덕트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여러개라면 1가지 선정, 선정이유와 함께)


못난이 농산물 판로확대를 이끌어 못난이 농산물에 대한 가치 기준 변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환경과 삶에 기여한다.

2. 프로덕트 시장 분석

1) 시장규모, 시장 성장률, 관련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 업계 동향, 전망 등을 작성
2) 위의 분석으로 알게 된 인사이트도 3가지 이상 포함
   ex) 관련 시장은 매년 10%씩 성장하고 있다, 00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00%로 성장하고 있다. 코로나19에 따라 국내 여행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지만 내년을 기점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식품 시장의 꾸준한 확대

개인의 '몸 건강'뿐만 아니라 '환경과 지구의 건강'까지 고려하는 소비 움직임 확대와, '가치소비'의 확산으로 국내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식품 시장 규모가 확대 되어 가고 있다. (*가치소비 : 본인의 가치 판단을 토대로 제품을 구매하는 합리적인 소비방식 트렌드)

년도 시장 규모
2018년 1조 2868억원
2019년 1조 8354억원
2020년 1조 9000억원
2025년(추정) 2조 1360억원

 
- 온라인 식품 시장의 급격한 성장 / 새벽배송 시장
팬데믹으로 온라인 식품 시장규모가 급성장하며, 신선식품에 대한 구매도 함게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했다. 마켓컬리, 쿠팡, SSG, GS리테일 등 다양한 식품 유통 업계의 새벽 배송 서비스의 증가로 신선식품의 온라인 구매 장벽이 낮아졌다. 

년도 시장 규모
2017년 10조 4000억원
2018년 13조 4000억원
2019년 17조 1000억원
2020년 25조 9000억원
2021년 32조 8000억원
2025년(추정) 70조억원

- 온라인 침투율
판매품목 확대 및 신선배송 강화에 따라 온라인 식품 구매를 꺼리던 5060세대들도 신규 고객군으로 진입하면서 온라인 식품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아직 침투되지 않은 75%의 온라인 식품 시장으로도 더욱 증가할 여지가 남아있다.

  • 식/음료는 업종별 온라인 침투율이 다른 카테고리에 비해 낮은 편이다. 
  •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식품 시장이 성장되었지만,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온라인 식품 구입 행태는 현재 수준과 동일할 것이라는 응답률이 80%에 육박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 2021년을 기준으로, G마켓이나 쿠팡과 같은 '온라인 종합 쇼핑몰'에서 식품 구입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마켓컬리나 더반찬 등과 같은 '온라인 식품 전무몰'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숫자에 스토리 입히기
책 추천 : 내러티브 앤 넘버스

 

3. 경쟁 프로덕트 분석

1) 해당 프로덕트의 경쟁 프로덕트, 대안재는 무엇인가? (둘 중 있는 것만 작성)
2) 경쟁 프로덕트, 대안재를 활용하여 포지셔닝 맵 작성
3) 해당 프로덕트가 타사 대비 차별되거나, 경쟁 우위인것은 무엇인가?(차별화 요소)

대안재

  • 컬리- 마켓컬리 : 건강한 식재료를 내일 아침 문앞에서 / 598개
  • 쿠팡-로켓프레시 : 믿고사는 로켓프레시, 신선함을 배송해드려요 / 1020개

→ 온라인으로 유기농 식품으로 '장보기'를 하고자 함은 컬리/쿠팡이 어글리어스의 대안재이고, '못난이 농산물 구매'를 하고자 할 때는 어글리어스가 컬리/쿠팡의 대안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비굿, 파머스페이스 등과 같이 농산물 플랫폼 분석 제안
 


경쟁프로덕트

  • 예스어스 : 맛과 영양이 가득한 친환경 못난이 농산물로 나와 지구를 위한 가치소비를 실현해보세요. - 200여 농가

→ 어글리어스와 거의 흡사한 비전, 미션, 서비스를 하고 있는 듯 하나 아직 조사가 부족하여 단언하지는 못하겠다.
 
 
포지셔닝 맵 작성
X : '친환경/유기농' 강조
Y : 상품의 수

4. 해당 프로덕트 성장 아이디어 도출

1) 경쟁 프로덕트 및 대안재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3가지 이상 제안
2) 해당 아이디어중 반드시 도입해야 할 아이디어 1개 이상 선택하고 이유 정리

1) 콘텐츠의 다양화

  • 레시피, 구독식단 기능 활성화
  • 농산물 선별 기준에 대한 가치를 변화시킬 콘텐츠 탭 다양화
  • 해당 프로덕트 내에서 볼거리, 읽을거리를 풍성히 늘려서 유저 활성화 → 고객 별 관심 있는 식품 데이터 확보 → 신규 농가 계약 및 농산물 발굴에 우선순위로 선정
  • 예시) 오늘의 집-집들이, 무신사-무신사 매거진,스냅

 
2) 해당 브랜드의 미션/비전 홍보

  • 유기농/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점심구독 서비스, 샐러드, 양념, 소스 등)와의 협업(진행중) 
  • 유기농/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 콘텐츠 활성화
  • 식품 커머스 업계와의 협업을 통한 팝업 스토어/전시 개최

 
3) 충성고객 관리 

  •  해당 프로덕트 내에서 볼거리, 읽을거리를 풍성히 늘려서 유저 활성화 → 커뮤니티,댓글 활성화 → 유저간의 결속력 강화
  • 예시) 오늘의 집-집들이

 
 
 


참고자료

https://www.mk.co.kr/news/business/9742579

 

친환경 농산물에 지갑 활짝…작년 1.9조 지출 - 매일경제

일반 마트보다 값 비싸지만친환경 식재료 구입에 안아껴"환경오염·동물복지에 관심"식물성 대체육 시장도 부상

www.mk.co.kr

  • 개인의 '몸 건강' 뿐만 아니라 '환경과 지구의 건강'까지 고려하는 소비 움직임 확대
  •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가치 소비'
  • 국내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식품 시장 규모 
    • 2018년 1조 2868억원
    • 2019년 1조 8354억원
    • 2020년 1조 9000억원(추정)
    • 2025년 2조 1360억원(전망)
  • 유기농 브랜드 '초록마을' 2020년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대비 20%증가
  • 마켓컬리 유기농/GAP 인증 과일 판매 146%/86% 급증 
  • 마켓컬리 무농약/유기농 채소 판매량 104%/89% 증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744709&memberNo=35869883 

 

못난이 농산물의 화려한 변신... 주목받는 '푸드 리퍼브' 시장

[BY 더농부] 마트에서 장을 보다 보면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을 저렴하게 파는 것을 볼 수 있다. 어...

m.post.naver.com

  • 푸드리퍼브 : 2014년 프랑스 슈퍼마켓에서 시작 -> 유럽 및 북미 지역 확산
  • 식재료의 재조명 + 조리된 식품의 폐기 축소
  • 백종원의 못난이 감자 방송후 한달간 G마켓 '못난이' 키워드를 포함한 신선식품 매출은 전년대비 25% 증가
  • 티몬, '실속형 소비자' 중심으로 저렴하게 판매되는 못난이 농산물 수요 지속적으로 증가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10913_0001581455#_enliple 

 

건강한 먹거리 찾는 소비자 증가…친환경·유기농 식품 시장 '쑥쑥'

[서울=뉴시스] 김동현 기자 = 식음료업계가 친환경·유기농 식품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mobile.newsis.com

  • 식품업계 친환경/유기농/동물복지 제품 출시 활발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432

 

코로나에 유기농 식품 강세…올해 2조 예상 - 식품음료신문

코로나19 장기화에 유기농식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후 가장 두드러진 소비 트렌드가 내식화됐기 때문이다. 내식 비중이 높다보니 ‘맛’이나 ‘가격’보다 ‘건강 유익성’이 더

www.thinkfood.co.kr

  • GS리테일 유기농 상품 전문 판매 플랫폼 '달리살다'
  • 마켓컬리 '컬리스' 유기농 제품 라인

https://brunch.co.kr/@siroo/22

 

어글리어스 : 못생겨도 괜찮아

모양이 예뻐야 맛있나요? 최근에 알게 된 사실 하나, 애호박은 원통형의 곧게 뻗는 채소가 아니라는 것. 원래는 휘거나 퉁퉁하게 자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트에서 보는 채소와 과일이 본 모양

brunch.co.kr

  • 푸드 리퍼브 : 식재료의 기능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외형상 흠집이 생겼을 때 싼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
  • 농산물의 상품성 기준은 '농산물 등급' - 대부분 외형을 기준으로 평가/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정기 구독을 통한 공유가치 창출 전략(CSV)
  • 22년 기준 어글리어스 누적 회원수 2만 5천여 명, 월평균 성장률 60%
  • 자신이 중요시 여기는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브랜드를 소비하는 고객을 활용

https://blog.naver.com/minesbrand/223055938777

 

[브랜드디깅] 못난이 농산물 구독서비스' 어글리어스' 브랜딩의 비결은?

안녕하세요, 브랜드 엑셀러레이팅 그룹, 마인즈입니다. 이번의 브랜드 디깅은 '못난이 농산물' ...

blog.naver.com

  • 2023년 3월 가장 최신
  • 2022년 매출 700% 성장
  • 2020년 10월 베타서비스 오픈, 2021년 7월  정식서비스 오픈
  • 연초 구독자 2배이상 증가 '새해 다짐'
  • 월평균 85%이상이 재구독 -> 충성고객 비율 높은 편
  • (문제1) 대용량으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가구가 줄어드는데, 못난이 농산물은 벌크로 판매된다. -> 소량상품
  • (문제2) 제품 품질의 컨트롤이 어렵다. 소비자 입장에 퀄리티 보장이 어렵다 -> 랜덤박스
  • (페르소나) 20대 후반~30대 초중반의 2인 가구, 직장을 다니며 건강에 관심이 많은, 맞벌이 가구, 환경문제에 적극적
  • (마케팅비) 전체 매출 5% 이하 사용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41721&ref=A 

 

[ET] “해마다 ‘13억 톤’이 그냥 버려져”…‘못 생겼다 홀대 마세요’ 못난이 농산물의 반란

■ 프로그램명 : 통합뉴스룸ET ■ 코너명 : 호모 이코노미쿠스 ■ 방송시간 : 4월3일(월) 17:50~18:25 KBS...

news.kbs.co.kr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903 

 

“못난이 농산물이라고 맛·영양가 떨어지는 건 아니잖아요”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이정석 기자] “친환경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선, 관행 농산물보다 유통비용을 줄여야 합니다”주식회사 캐비지는 ‘사람과 환경을 위한 더

www.agrinet.co.kr

https://www.mk.co.kr/news/business/10137478

 

"코로나 끝나도 식품 이곳서 산다"…올해도 `돌밥돌밥`에 온라인 쇼핑몰 독주 - 매일경제

코로나19가 종식된 후에도 온라인을 통해 식품을 구입하는 행태는 현재 수준과 동일할 것이라는 응답율이 8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4일 `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온

www.mk.co.kr

http://www.krei.re.kr/foodSurvey/selectBbsNttView.do?key=1890&bbsNo=984&nttNo=15707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보도자료 상세보기 - 식품소비 행태조사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내용, 원문, 작성자, 게시일 정보 제공 [보도] 식품 구입 시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2021년,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구입장소 및 온라인 소비행태는 지속될 전망 485

www.kre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