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 여정/Daily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3D2 토론 준비 및 회고

해당 프로덕트만이 제공하는 가치와 아웃바운드 영역을 논의하고 정리하기

프로덕트 선정

스페이스클라우드, 챗gpt, 당근마켓, 이베이, 숨고

  • 발표요정이 잘 아는 프로덕트면 좋을 것 같고, 다른 요정도 알고 있는 프로덕트!
  • 공간대여라는 서비스 내용이 어렵지 않아서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 스페이스클라우드 선정

서비스 둘러본 후기

  • 시간당으로 계산했을 때 에어비앤비보다 저렴
  • 빌려서 사용하는 사람 뿐만아니라 호스트들도 이용 가능

프로덕트 제공 가치

  • 목적에 맞는 공간들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음
  • 원하는 공간대여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고, 바로 대여 및 결제 할 수 있음

고객 세그먼트

공부 / 면접 / 예체능 / 코워킹스페이스 / 등등 카테고리가 굉장히 다양해서 카테고리로는 고객을 분류하기는 어렵다.

  • 주기적으로 공간을 자주 빌리는 고객
  • 특별한 목적으로 공간을 빌리는 고객
  • 갖고 있는 공간 호스팅을 하려는 사람

고객 관계

  • 인스타그램 이벤트, 유튜브 채널 운영
  • 처음 이용하는 호스트가 이용하기 쉽게 블로그 채널 운영
  • 호스트 오프라인 강의

경로

  • 자체 플랫폼(웹/앱)

수익구조

  • 수수료 → 호스트에게 10% 수수료 부과
  • 광고 → 광고센터 운영(프리미엄존, 상위 노출)
  • 기획전 → 배너광고? → 그냥 유저를 위한 콘텐츠에 해당하는 듯(수익X)

추가토론

  1. 에어비앤비 수수료 구조(게스트 3%, 호스트 14%)와 차이가 큰 이유
    • 수요와 공급의 차이로 인해
    • 에어비앤비는 호스트 입장에서 비슷한 플랫폼이 많고, 스페이스클라우드는 적다.
  2. 경쟁사(아워플레이스, 쉐어잇)
    • 모두 인스타그램은 동일하게 운영, 팔로워 규모도 비슷
    • 각각 게시물의 결이 좀 다른느낌? 아닌가?
    • 아워플레이스는 추천인코드(친구추가) 5%적립이 있음.
  3. 아쉬운 점
    • 충성고객에 대한 혜택, 잦은 이용에 대한 혜택이 없다.
  4. Pricing 적용
    • 많은 고객에게 돈을 적게받는 저가전략 사용
    • 공간대여자에게만 수수료 부과, 호스트 대상으로는 이윤을 취하지 않음
    • 사용자들 입장에서 제공자 수수료를 더 많이 부과하는 것이 덜 부담

 

 

크게 준비를 많이 할 토론주제는 아니어서, 프로덕트만 가볍게 선정하고 갔다!
사실 이전에 준비했었던,, 그치만 토론주제로 선정되지는 않은 스페이스클라우드를 한번더 :>

그리고 토론 중에 유저사이드만 생각하는 안좋은 습관의 나를 발견했습니다. 
경쟁사와의 검색량 비교도 배웠으면서 활용하지 못하는 나...
다른 조원 덕분에 활용했는데 개인적으로 '스클이 먼저니까 짱이겠지'라는 생각을 논리로 바꿔줄 있는 데이터를 확인해서 좋았습니다.

조원들 참여도도 높았고, 내가 제안한 프로덕트로 토론을 해서 더더욱 즐거웠다. (같은 취미 동기님도 만났어욥..!)
다른 요정을 하겠다고 다짐해서, 발표 요정을 했지만 발표를 나서지는 못했습니닷,,,ㅎㅎ
다음에는 발표요정도 하고 발표도 나서보기~! 

토론 사전준비

 

1. 과제 이외의 프로덕트 중에서 투표를 통해 다수가 알고 있는 or 관심 있어하는 프로덕트 정하기

- 스페이스 클라우드 : 파티룸, 연습실, 스튜디오 등의 공간 예약 플랫폼 

 

2. 프로덕트가 제공하는 가치는?

- 목적에 맞는 공간들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음

- 공간대여를 원하는 스케줄 예약정보를 확인하고, 바로 대여할 수 있음

 

3. 프로덕트의 목표 고객, 고객 관계, 경로, 수익구조는?

1) 목표 고객 

- 주기적으로 공간을 자주 빌리는 고객

- 특별한 목적으로 공간을 빌리는 고객

 

2) 고객 관계

 

3) 경로

- 웹페이지, 모바일 앱

 

4) 수익구조

- 호스트에게 유저가 낸 대여비용의 10%를 수수료로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