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obiinside.co.kr/2023/07/06/framework/
[딥 다이빙 인사이트] 우선순위에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자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딥 다이빙 인사이트] 우선순위에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자 - 비즈니스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www.mobiinside.co.kr
기획자(PM)의 역량
- 한정적인 리소스(시간, 인력 등) 내에서 최대의 효율을 내는 것
- 변화하는 내/외부 상황에 맞게 과제의 우선순위를 배분하는 것
→ 수익 직결 과제나, 상사의 과제를 우선하다보면 중장기적 관점에서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는 과제들이나 지금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업무들을 처리할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다반사 ⇒ 약속된 프레임워크의 중요성
아이젠하워 매트릭스
업무의 중요도, 시급성에 따라 해야 할일의 우선순위를 결정해주는 4사분면
시급한 일
- 즉시 처리해야 하는 업무
- 갑자기 생겨난 업무(긴급한 오류, 수정 등)
- 급하지 않다고 판단해서 미뤄온 업무가 완료일을 넘어가서 시급한 일이 되어버린 것
중요한 일
- 장기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사업의 명운이 달린 중요한 임무
- ‘분기별 회사 전략 과제’, ‘회사 내/외부 인적 네트워크 관리’, ‘정기적인 테스트, 유지보수 업무’
제 1사분면 : 중요하면서 급한 일(Do)
- 우선순위 정하기의 기본 → 상대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일을 찾는 것
- 2사분면에 놓인 업무들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1사분면으로 이동
- 지금 당장 처리해야만 하는 과제
제 2사분면 :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Schedule)
- 가장 중요한 일
- 탄력적, 계획적으로 관리가 필요
- 언제 어떻게 끝낼지 계획이 필요한 과제
제 3사분면 : 중요하지 않지만, 급한 일(Delegate)
- 소모적인 업무들이지만, 무시할 수 없는 일
- 일을 되도록 줄이고, 담당자에게 위임해야 함
제 4사분면 : 중요하지도, 급하지도 않은 일(Drop)
- 채팅으로 끝낼 가벼운 미팅을 굳이 회의실에서 한다던가, 업무 노션을 꾸미거나
- 아예 없을수는 없지만, 돌이켜보면 필요하지 않은일일 수 있음 → 회고 갖기
🕰️ 몰입이 잘되는 시간 찾기
몰입이 잘되는 시간에는 급하지 않지만,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는게 좋다.
모스코우(MoSCoW) 모델
백로그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을 구별하고, 한정된 리소스 내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론
Must Have :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
- 제품/서비스의 킬러 피처(Killer Feature),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이슈(서비스 정책/법적 규제 등)
- 이것이 고려되지 않으면 매우 치명적인 것
- 인스타그램의 팔로우/팔로잉
Should Have : 필수는 아니지만, 중요도를 고려해야 하는 일
- 분명히 제품/서비스에 가치가 있지만, 반드시 고려하지는 않아도 되는 일
- 유지보수, 기능 개선 → 방치해두면 기술 부채가 쌓일 수 있음
-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Could Have : 안 해도 되지만, 하면 좋은 일
- Should Have와의 차이점 → ‘이 요구사항이 유저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가?’
Won’t Have : 굳이 할 필요가 없는 가치가 없는 일
- 언젠가는 해야하는 일, 그러나 당장 하지 않더라도 큰 손실은 없는 일
- 한정적인 리소스(시간, 인력 등) 내에서 최대의 효율을 내는 것
- 변화하는 내/외부 상황에 맞게 과제의 우선순위를 배분하는 것
'기록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 PM과 PO는 뭐가 다를까? (0) | 2023.08.11 |
---|---|
[주니어 기획자들을 위한 실전서] 주니어 PM을 위한 SQL 활용기 (0) | 2023.08.10 |
[요즘IT] 주니어 PM이 알아야 할 서버 기초 상식 (0) | 2023.08.08 |
[퍼블리] PM에게 수도 없이 찾아오는 결정의 순간, 나는 어떻게 할까? (0) | 2023.08.07 |
[Trend Lite] 무신사, 오늘의 집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