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ubly.co/content/6821?fr=library-done
PM에게 수도 없이 찾아오는 결정의 순간, 나는 어떻게 할까?
기획자의 능력은 디테일에서 드러난다 / 사례 1. 프로젝트 목적과 사용성을 고려하다
publy.co
- 기획 → 제품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어떤것이 더 나은 방향인지 저울질하며 디테일을 조율해나가는 일
- 의사결정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 이 선택지가 상대적으로 더 프로젝트의 목적 달성에 도움이 되는지
- 이 선택지가 예상되는 리스크를 줄여줄 수 있는 방향인지
사례1. 프로젝트 목적과 사용성을 고려하다
: D/PW 찾기 시 휴대폰 인증 기능 도입 사례
- 최초 시안
- 탭 타입
- 라디오 버튼 타입
- 게이트 타입
- 프로젝트 목적 : 고객이 이메일 인증이외의 방식으로도 편리하게 ID/PW 찾기를 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
- 탭 타입
- 라디오 버튼 타입
게이트 타입→ 화면 집입 즉시 휴대폰 인증 방식으로 계정 정보를 찾는 단계를 진행한다면 고객의 니즈에 더 잘 부합
- 시안별 특징
- 탭 타입
- 탭 메뉴로 인증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내비게이션 역할을 해주는 탭과 탭 하단 역할이 명확히 구분
- 상답 탭을 눌렀을 때 하단의 입력 필드 영역 새롭게 재구성 될 것이라는 힌트 제공
라디오 버튼 타입- 가볍고 빠르게 인증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인상 제공
- 대신 라디오 버튼과 하단 입력 필드들이 같은 레벨로 느껴져, 인증방식 전환시 하단 입력 필드 변경이 당황스러울 수 있음
- 탭 타입
💡 당장 고객에게 엄청나게 큰 불편을 초래하거나 매출에 영향을 주는 작은 기능이더라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고객의 경험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함. 작더라도 치열하게 고민했던 경험들이 쌓여 무겁고 임팩트 있는 결정에도 확신을 주는 기준을 가질 수 있게 됨
사례2. 고객 데이터를 다시 들여다보다
: ID/PW 찾기 시 중복 계정 존재 사례
- 서비스에 변화를 줄때에는 기존 고객의 경험을 고려해야 함
- 기존 고객의 영향 예측? → 데이터를 살펴보는 것이 가장 빠르고 객관적인 방법
- ID 찾기 결과로 계정을 몇개까지 보여줄지?
- 기존 고객들 중 중복 휴대폰 번호를 보유한 계정 현황 확인
- 2개인 경우가 가장 최다, 3개 이상부터는 중복 계정 발생 빈도 현저히 낮음
💡 기존 고객데이터를 확인하고 의사결정을 내림으로써 명확한 결론과 가이드를 함께 제시 가능
사례3. 미래의 제품 모습을 미리 그려보기
: ‘주문내역 조회 기능’에 대한 의사결정 사례
- PM의 업무 : 많은 작업 리스트 중 중요한 작업과 덜 중요한 작업의 우선순위를 매겨 제품에 먼저 포함시킬 기능의 범위 선정하기
- → 눈앞의 문제를 바로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어떻게 고도화 될지 작업의 청사진 그려보기
언제나 유효한 핵심 질문
💡 선택지를 대입하며 문제 해결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 찾기
- 프로젝트 목적 대입하기 : 고객에게 제공하려는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가?
- 사용성 비교하기 : 고객 입장에서 더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인가?
- 고객 영향도 진단하기 : 새로운 불편을 얻게 되는 고객(특히 기존 고객)은 없을까? 만약 있다면 영향받는 고객 수, 매출 규모 등의 리스크는 어느 정도이고 이를 어떻게 해결 또는 완화할 수 있을까?
- 청사진 연결하기 : 미래에 궁극적으로 변화될 모습과 같은 선상에 있는 변화인가? 그렇지 않다면 지금 반드시 대응하고 가야 할 정도의 중요한 작업인가?
'기록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 다이빙 인사이트] 우선순위에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자 (0) | 2023.08.09 |
---|---|
[요즘IT] 주니어 PM이 알아야 할 서버 기초 상식 (0) | 2023.08.08 |
[Trend Lite] 무신사, 오늘의 집 (0) | 2023.08.03 |
[우아한 형제들] 개발자가 생각하는 좋은 PM, 나쁜 PM (0) | 2023.08.01 |
[아티클] 판매자 '민심'으로 읽는 네이버vs쿠팡 (0) | 2023.04.19 |